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이사후 주소 일괄변경 & 전입신고 하는법 4가지!

by 진뚜리버 2025. 2. 5.
반응형

이사후주소변경-이사주소변경-이사전입신고

 

 

여러분은 이사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부동산 계약서? 전세사기?

저는 우편물을 받기 때문에 주소변경이 가장 신경 쓰입니다.

단지 우편물 때문만이 아니라 각종 사이트에 있는 나의 주소지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정말 쉽게 주소 일괄변경 하는 법 알려드릴게요!

 

1. 정부 24

 

지금까지 알려드릴 방법은 전부 간편하지만, 1번이 가장 널리 쓰이고 흔하게 알고 있는 방법입니다.

바로 정부 24 사이트를 통해 신청하는 방법인데요.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이사 후 주소변경을 할 수 있어 엄청나게 편리하답니다!

 

[정부 24 사이트순서]

 

- 정부 24 사이트 로그인

- 민원서비스 > 민원 신청&안내 클릭

- 전입신고 검색 후 클릭

- 신청인 정보 기입

- 이사 전 주소 기입

- 이사 후 주소 기입

 

[정부 24 앱 순서]

 

- 정부24 앱 로그인

- 전입신고 서비스 바로가기 클릭

- 신고하기 클릭

- 신청구분 '변경' 클릭 후 나머지 정보 적기

 

 

 

 

 

2. KT-moving

 

kt무빙 사이트에서도 간편하게 이사 후 주소변경을 하실 수가 있는데요.

주소변경을 전문으로 해주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4가지 방법 중에선 가장 간단하게 주소변경을 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kt무빙 사이트에서 본인인증 후 신분증 인증까지 완료하고 이사 후 주소만 작성하면 바로 일괄변경이 된답니다.

 

kt라고 쓰여있지만 통신사 관계없이 모두가 이사 후 주소변경을 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회사 주소도 변경이 가능하고 모든 것은 무료이니 편하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3. 우체국 주거이전 서비스

 

원래 살던 집에서 받던 우편물을 이사 후 주소로 받는 서비스로, 우체국 주거이전 서비스는 유료입니다.

 

[방법]

 

- 인터넷 우체국 사이트 로그인

- 부가서비스 > 주거이전 서비스 신청

 

참고사항 : 같은 권역에서 신청하는 건 3개월 이내 기준 무료 / 타 권역 7,000원 비용발생

 

 

 

 

 

4.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 방문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행정복지센터 구) 동사무소에 직접 내방하여 이사 후 주소지변경을 하는 방법인데요.

가지고 가셔야 할 준비물이 있습니다.

 

1. 신분증

2. 주민등록등본

3. 가족관계증명서(본인 외 가족도 옮길 경우)

 

그렇지만 정말 중요한 건 신분증!

주민등록증 혹은 운전면허증을 챙기셔야 합니다!

요즘은 온라인 면허증도 많이 쓰시더라고요!

 

나머지 두 서류는 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미리 가지고 가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중요한 안내사항!

전입신고를 마친 후 3일 정도 지나고서 건강보험공단에 전화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유가 뭐냐고요?

직접 납부방식으로 보험료를 내면 상관이 없지만, 자동이체를 하는 경우에는 증번호가 변경되었을 때 문제가 생긴답니다.

변경이 될 수도 안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꼭 전화 후 증번호 변경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변경되었다면 자동이체 변경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