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6

시학 모방에 관하여 : 모방의 대상 모방의 대상 모방자가 모방하려고 하는 대상은 인간의 행위인데 이 행위자는 필연적으로 선인이거나 악인이다. 미덕과 악덕 사이의 경계가 모든 인간을 구분 짓는 것이기에, 인간 성격의 구분은 이러한 일차적 분류에서 항상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모방의 대상으로서 인간은 선함에 있어 우리 수준 이상이거나, 그 이하이거나, 우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폴리그노투스가 우리 이상의 인물을, 파오손이 이하의 악한 인물을, 디오니서스가 우리 자신과 비슷한 인물을 그린 것 등인데, 이것은 화가의 경우에도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의 관점으로 표현된 대상에 의해 서로 분리된 예술이 나온다는 것은 확실하다. 무용, 관악곡, 현악곡 등에 있어서도 이런 구분은 가능하며, 언어를 사용하는 이름 없는 예술, 즉 화음을 가지지 않는 .. 2024. 3. 26.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 모방에 관하여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의 내용을 개인공부용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시는 일종의 모방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를 일종의 모방이라고 정의한다. 그 말의 정확한 의미로 보아 혹은 실체화라고 옮기는 것이 더 좋을지 모른다. 그가 의미하는 것은 이 점이이다. 시인은 창조자이다. 시의 작자와 과학논문의 저자는 모두 같은 표현수단, 즉 언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시는 작자가 무엇인가를 창조했다느 ㄴ점에서 과학논문과 구별된다. 과학자는 사실의 순수한 개관적 서술을 목적으로 한다. 시인 그 나름의 개성이라는 통의 수단을 통하여 인생을 재현해 주는 것이다. 그는 새로운 무엇인가를 창조한다. 소설가나 극작가의 산문에 있어서도 그렇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들을 잘 알지 못했지만, 정의를 내리는데 아직까지도 우리에게 문젯거리로.. 2024. 3. 26.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 연기공부 시학이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약 기원전 330년 이래 오랫동안 화려한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후기 그리스나 라틴 문화에서 시학의 영향력에 따른 추종 작품이 있긴 하지만, 시학에 관한 보다 깊은 내용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중세에 들어 시학은 시리아와 아랍의 학자에 의해 알려졌지만, 대부분 오해된 채로였었다. 시학의 근대적 생명력은 15세기 말엽 이탈리에에서 비롯된다. 그 이후 시학은 권위로서의 영예를 얻으며, 수세기에 걸쳐 여러 언어로 번역되고 편집되거나 주석이 가해졌다. 그러나 그것은 탐구심에서보다는 숭배심에 의해 받아들여졌던 것이 사실이다. 시학은 아직도 살아있다. 시학은 예리한 시각과 박식하고도 조직적인 방법론에 의하여 쓰인 예술에 대한 위대한 연구서이기 때문이다. 시학은 문학 비평의 최초의 .. 2024. 3. 25.
배우의 도덕과 연극윤리 그리고 악용자 연극 창조행위에 기여하는 또 하나의 요소를 연극 윤리라 부르고 싶다. 연극 윤리 배우는 작품의 전반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예술이 추구하는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질서와 규율과 도덕적 양식이 필요다. 배우가 언제나 최상의 모습으로 관객의 시야에 들어와, 박수갈채를 받고, 엄청난 찬사를 받고, 칭찬하는 비평서를 읽는 일련의 행동들은 끊임없이 개인적인 허영심을 부추기고 감각을 자극한다. 그러나 만일 배우가 거기에만 안주하려 든다면 배우는 의기소침해지며 하잘것없이 사소한 존재로 전락하고 만다. 경박하고 비천한 배우는 그런 삶에 매료되어 안주하려 들고 그 때문에 타락하여 파멸의 길을 걷게 되지만 진지한 배우는 그런 삶에 오래도록 안주하지 않는다. 때문에 연극 세계에서 배우는 자신을 철저히 관리해야 하고 원칙을 준수하.. 2024. 3. 23.
반응형